TCP/IP 관련 직무를 희망하고 관련 프로젝트도 몇개 진행해봤지만
나는 기능 구현 위주의 진행만을 했어서 제대로 개념을 잡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.
아래 블로그가 정말 쉬운 관점에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.
https://brunch.co.kr/@wangho/6
03. 개알못을 위한 TCP/IP의 개념
1부 웹의 시작과 현재 | 그것은 마치 땅 위의 길과 같은 것이다. 사실 땅 위에는 본래 길이 없었다.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곧 길이 된 것이다. - 루쉰, 고향 하이퍼텍스트 이야기부터 시작
brunch.co.kr
위의 내용을 정리하자면
1:1 통신이였던 서킷통신의 형태는 한번 연결이 되면 독점하는 형태로 회선 단절에 취약하다.
이를 보안한 방식이 패킷통신으로, 한번에 모든 데이터를 보내는 방식이 아닌 데이터를 나누어서 전송하는 형태로 진행된다.
TCP/IP통신이란?
인터넷 프로토콜인 IP와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 TCP가 합쳐진 인터넷 데이터 통신 TCP/IP 통신이다.
인터넷 프로토콜 IP는 패킷 통신방식을 사용하여 보낸 순서에 무관하게 데이터를 빠르게 보내는 역할을 하고
전송 제어 프로토콜 TCP는 받은 데이터의 누락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고 재전송 요청하는 역할 및
전송 순서대로 정렬하는 역할을 한다. (TCP는 IP위에서 동작함.)
TCP/IP에는 HTTP, FTP, SMTP가 포함된다.
※ 패킷 : 데이터를 일정한 크기로 자른 단위로 인터넷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단위
https://aws-hyoh.tistory.com/entry/TCPIP-%EC%89%BD%EA%B2%8C-%EC%9D%B4%ED%95%B4%ED%95%98%EA%B8%B0
TCP/IP 쉽게 이해하기
IT 분야에서 실무를 담당하시는 분들뿐만 아니라 학생, IT 쪽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TCP/IP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. 저 또한 학부시절에 TCP/IP에 대해서 여러 번 들어보았는데요.
aws-hyoh.tistory.com
위의 글로 전체적인 흐름은 잡아보았는데 여전히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그냥,,,,, 넘어가기로,,,,
간단히 정리하자면
1. OSI 7 Layer
tcp 프로토콜은 4계층인 전송 계층, ip 프로토콜은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이다
내일 osi 7계층 다시 정리해야겠다..
2. port는 입구!
3. 3-way handshake
쉽게 생각하면 위와같은 개념이다. tcp 프로토콜 사용 시 적용 됨.
통화연결을 예시로 들면 이해가 더욱 쉽다.
(통화연결음 = 연결시도, 상대가 전화받고 연결됨 , Ack = "여보세요?")
아래 링크에서 정말 쉽고 자세히 설명 잘되어있음
https://seongonion.tistory.com/74
[네트워크] TCP 3-way & 4-way handshake란?
TCP란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, 연속성 있는 데이터 패킷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. TCP 특징 전송되는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(흐름 제어, 혼잡 제어, 오류 제어) 파일전송에 주로 사용 가상 회선을
seongonion.tistory.com
OSI7계층에서 전송계층인 TCP를 대체할 수 있는 UDP와의 특징과 차이를 잘 설명해주신 포스팅이다.
https://mangkyu.tistory.com/15
[TCP/UDP]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
오늘은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, 쉽게 말해 데이터의
mangkyu.tistory.com
요약하자면 TCP는 신뢰성이 더 높은 프로토콜이고
UDP는 정확성보다는 연속성이 더 높은 프로토콜로, 주로 실시간 스트리밍에 사용된다.
이 차이를 만드는 특징은 흐름제어와 혼잡제어이다.
UDP는 흐름제이가 없어서 오류 확인이 어렵다. (신뢰도가 떨어짐)
다음 포스팅에서부터는 이제 tcp/ip 소켓 프로그래밍에 대해 소스 코드를 가지고 와서 제대로 정독하겠다.
'개념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utosar 관련 포스팅 (0) | 2022.06.17 |
---|---|
AUTOSAR - BSW (0) | 2022.06.17 |
AUTOSAR (0) | 2022.06.17 |
TCP/IP 소켓 프로그래밍 정리 (0) | 2022.05.09 |